놀이터 업데이트 프로젝트 : 모아 (MOA)

아이들의 변화한 니즈를 모아 만든 지속가능한 모듈형 놀이공간

Playground Update Project: MOA

A sustainable modular play space created by gathering the changing needs of children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1970년 중반 도시공원 조성사업 이후 놀이터의 시계는 멈추었다. 현재 서울시 놀이터의 60% 이상은 조성된 지 10년이 넘은 채로 방치되어 있다. 반면 아이들은 끊임없이 변화하고 있다. 수십 년 전 어른의 시선으로 만들어진 획일화되고 틀에 갇힌 놀이터는 더 이상 아이들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2020년대 아이들은 유튜브, 틱톡 등의 다양한 콘텐츠 속에서 자신들만의 놀이문화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제 놀이터도 아이들의 다양성을 반영한 새로운 업데이트가 필요하다.

The clock on the playground stopped after the urban park development project in the mid-1970s. Currently, more than 60% of playgrounds in Seoul have been neglected for more than 10 years. On the other hand, children are constantly changing. The standardized and framed playground created with the eyes of adults from decades ago no longer satisfy children. Children in the 2020s are creating their own play culture through various contents such as YouTube and TikTok. Now, the playground also needs a new update that reflects the diversity of children.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모아’는 변화된 아이들의 니즈로부터 시작된다. 현재의 아이들은 어릴 적부터 유튜브 등 시각 콘텐츠 속에서 자신들의 놀이문화를 만들어왔다. 이제 어린이들은 전형적인 놀이기구인 4S(그네(Swing), 시소(Seesaw), 미끄럼틀(Slide), 모래밭(Sandbox))를 벗어나, 하나로 정해진 놀이방식이 아닌 비지시적이고 도전적인 놀이를 원한다. 우리는 이러한 아이들의 니즈를 모았다. 기존 놀이터가 가진 획일화된 수직 수평의 틀을 벗어나는 것을 해결 방향으로 잡아, 놀이터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MOA’ begins with the changed needs of children. Today’s children have been creating their own play culture through visual contents such as YouTube since childhood. Now, children want non-directed and challenging play rather than a set play style, away from the typical 4S (Swings, Seesaw, Slide, Sandbox). We have gathered the needs of the children. We intend to provide a playground module by taking the deviation from the standardized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 of the existing playground as a solution.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모듈형 놀이터 ‘모아’는 지역과 환경에 맞게 모듈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이 모여 새로운 놀이공간을 만들기도 하고, 기존 놀이터와 결합한 새로운 놀이 시설로 탈바꿈시키기도 한다.
‘모아(MOA)’는 ‘모아모듈’, ‘쏘아모듈’, ‘올라모듈’, ‘쌓아모듈’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모듈은 서로 다른 기능이 있으며, 함께 조합될 수 있다. 먼저 ‘모아모듈’은 곡면으로 이루어진 놀이공간 형태의 기본을 잡아주는 역할을 하며, 기존 놀이터의 수직 수평의 틀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한다. ‘쏘아모듈’은 빔프로젝터가 내장된 모듈이다. 놀이터의 그림자가 진 공간에 인터랙티브한 영상을 재생하여 시각적 자극으로 아이들의 흥미를 유발한다. ‘올라모듈’은 ‘모아모듈’에 클라이밍 손잡이가 결합한 형태이다. 어딘가에 올라가고 싶어하는 아이들의 도전적인 니즈를 반영하였다. 마지막으로 ‘쌓아모듈’은 수평적인 블록형태의 모듈이다. 앉을 수 있고 휴식을 취할 수 있는 정적인 공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아이들이 중간중간 쉬거나 앉아서 친구들과 놀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아이들이 노는 모습을 바라보는 보호자들을 위한 공간이 되기도 한다.
'모아'는 아이들의 변화된 니즈를 반영한다. 기존 놀이 시설을 철거하지 않아도 애드온하여 새로운 놀이공간으로 탈바꿈시킬 수 있으며 지역 환경에 맞게 다양한 형태로 보급할 수 있다. '모아'는 2020년대 아이들에게 꼭 맞는, 지속가능한 놀이터를 추구한다.

The modular playground ‘MOA’ can be applied by selecting modules according to the region and environment. Each module gathers to create a new play space, or transforms it into a new play facility combined with an existing playground. ‘MOA’ consists of ‘MOA module’, ‘SOA module’, ‘OLA module’, and ‘SSA-A module’. Each module has different functions and can be combined together. First of all, the ‘MOA module’ plays a role in holding the basic shape of the play space made of curved surfaces. It should be able to deviate from the vertical and horizontal frame of existing playgrounds. ‘SOA module’ is a module with a built-in beam projector. Interactive images are played in the shadowed space of the playground to stimulate children’s interest with visual stimulation. ‘OLA module’ is a form of ‘MOA module’ combined with a climbing handle. It reflects the challenging needs of children to climb somewhere. Lastly, the ‘SSA-A module’ is a horizontal block-type module. It can create a quiet space where you can sit and relax. It allows the children to rest or sit in during break time or play with their friends while sitting. It also serves as a space for parents to watch their children play. ‘MOA’ reflects the changing needs of children. It can be transformed into a new play space by adding on to the existing play facility, rather than demolishing it. Also it can be distribut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the local environment. ‘MOA’ pursues a sustainable playground that is perfect for children in the 2020s.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디자인전공
김나은, 강도희, 길정연, 이혜련, 위정현 지도교수 김원섭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dustrial Design Program
Naeun Kim, Dohee Kang, Jeongyeon Kil, Hyeryeon Lee, Jeonghyeon We ADVISER Wonsup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