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뜰

도시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공공 스마트팜 플랫폼

‘Woori-ddeul’ (Our Yard)

A public smart farm platform that utilizes urban unused space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폐건물, 교통섬, 육교 아래 등의 자투리 공간들은 복잡한 도시 속에서 아무런 쓰임새와 가치가 없는 공간으로 방치되어 있다. 이러한 공간들은 낭비될 뿐만 아니라 어떠한 관리도 없이 무관심 속에 방치되며 도시의 미관을 해치고, 어둡고 음침한 분위기를 조성하여 거리의 행인들에게는 그저 빨리 지나가고 싶어질 뿐인 기피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우리뜰'은 이러한 공간에 행인들과 간단한 인터랙션을 제공하는 공공 시티팜 모듈을 배치해 버려졌던 공간에 새로운 가치를 더하고자 한다.

Abandoned buildings, traffic islands, under overpasses, etc., are neglected as spaces with no use and value in the complex city. These spaces are not only wasted spaced, but also neglected without any management, reduc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It has been transformed into an avoidable space for street pedestrians by creating a harmless, dark and gloomy atmosphere. ‘Woori-ddeul’ intends to add new value to the abandoned space by arranging a public city farm module that provides simple interaction with pedestrians.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프로젝트를 구체화하기 위해서 다양한 자투리 공간들의 리서치를 진행했다. 수차례의 리서치와 현장 탐사를 통해 육교와 지하도만의 특별함을 찾을 수 있었다. 폐건물이나 교통섬 등 다른 유휴공간들과 달리 육교와 지하도는 대부분 사람들의 통행이 빈번한 거주 지역이나 상권 가까이에 있었다. 그럼에도 육교 밑의 공간은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각종 쓰레기와 짐들이 쌓이며 도시의 미관을 해치고 있다. 사람들이 기피하는 공간이 되어버린 육교 아래는 거리상으로는 사람들과 가깝지만 마음에서는 멀어져 버렸고, 이러한 공간을 밝게 바꾸는 것을 우리의 목표로 삼게 되었다.
그 방법으로 우리는 텃밭을 떠올렸다. 도심 속 텃밭을 조성해 자투리 공간에 가치를 더하고, 미관을 개선함으로써 행인들이 잠시 머물고 싶어지는 공간으로 변화시키고자 했다. 그러나 공공기관과 전문가들에게 조언을 구하는 과정에서 위생과 공간의 효율, 관리 등 현실적인 문제들을 고려해 일반적인 텃밭이 아닌 ‘스마트팜’으로 변경하게 되었으며, 공공시설물로 누구나 이용이 가능한 플랫폼을 만들고자 하였다.

In order to embody the project, we conducted research on various leftover spaces. Through a number of research and field exploration, we were able to find the uniqueness of overpasses and underpasses. Unlike other unused spaces such as abandoned buildings and traffic islands, overpasses and underpasses were located near residential areas or commercial areas where people frequently passed by. Nevertheless, the space under the overpass is not properly managed, and various kinds of garbage and luggage accumulate, damaging the aesthetics of the city. Space under the overpass, which has become a space that people avoid, is close to people in terms of distance, but it is far from their heart. Our goal is to brighten these spaces.
We thought of a vegetable garden as a method. By creating a vegetable garden in the city center, we wanted to add value to the leftover space and improve the aesthetics to transform it into a space where pedestrians want to stay for a while. However, in the process of seeking advice from public institutions and experts, considering practical issues such as hygiene, space efficiency and management, we changed our direction towards ‘Smart Farm’ instead of a general vegetable garden, and it was intended to create a platform that anyone can access as a public facility.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육교 밑과 지하보도에 스마트팜 모듈 ‘우리뜰’ 제품을 배치하고 이에 어울리는 환경을 함께 조성함으로써, 기피되던 공간은 행인들에게 여유를 주는 공간으로 탈바꿈된다. 소비자는 우리뜰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해 자신이 수확할 작물을 선택하고, 성장 중인 작물의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수확 시기가 되면 사용자에게 알림이 전송되고 알림을 확인한 사용자는 작물 픽업을 위해 해당 ‘우리뜰’ 지점으로 이동한다. 어플리케이션에서 실행한 QR코드를 기기에 태그하면 사용자의 채소가 수확되고 사용자는 그 채소를 용기에 담아 집으로 가져오게 된다. 이처럼, 가까운 곳에서 작물을 수확하는 방식을 통해 지역 상권과 연계가 이루어지고, 편리할 뿐 아니라 빠르고 믿을 수 있는 유통구조를 만드는 것이 '우리뜰'의 기대효과이다. 이 외에도 ‘우리뜰’ 제품 측면에 있는 디스플레이를 통해 서울시의 공공 소식을 광고하거나, 청년 작가들의 예술 작품들을 전시함으로써 거리의 작은 전시장과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하며, 행인이 지나갈 때 반응하는 인터랙션을 구현해 행인들의 관심을 끌고 흥미를 일으키기도 한다. 우리뜰은 이러한 방식으로 사람, 도시환경, 그리고 지역사회의 조화로운 관계를 지향하며, 휴먼시티를 향해 한 걸음 다가간다.

By arranging the smart farm module ‘Woori-ddeul’ under the overpass and on the underpass sidewalk, and by creating an environment that suits the mood, the previously avoided space is transformed into a space that offers relaxing minds to pedestrians. Consumers can use the ‘Woori-ddeul’ app to select the crops they wish to harvest and check the status of growing crops. When the harvesting season comes, a notification is sent to the user, and the user, who confirms the notification, moves to the corresponding ‘Woori-ddeul’ point pick up the crops. By tagging the QR code executed by the app to the device, the user’s vegetables are harvested, and the user can bring the vegetable home in a container. As such, the expected effect of ‘Woori-ddeul’ is the connection with the local business district, convenience, and a fast and reliable distribution structure that can be achieved through the method of harvesting nearby crops. In addition, it serves as a small street exhibition hall by advertising public news of Seoul through the display located on the side of the ‘Woori-ddeul’ product or by displaying the works of young artists. It attracts attention and arouses interest. In this way, ‘Woori-ddeul’ aims for a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people, the urban environment, and the local community, taking one step closer to a Human City.

국민대학교 공업디자인학과
김윤호, 김태혁, 류해찬, 민준영, 정해찬 지도교수 권효선
Kookmin University Industrial Design
Yunho Kim, Taehyuk Kim, Haechan Ryu, Junyoung Min, Haechan Chung ADVISER Hyosun Kw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