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빛 손 누리터

도시 노인 소외 문제 개선을 위한 메타버스 활용

Silver Hand World (Playground)

Utilization of metaverse to improve isolation of urban elderly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한국은 초고령사회로 빠르게 진입하고 있다. 2017년에 이미 고령화 사회에 접어들어 고령사회로 들어섰으며, 앞으로 멀지 않은 25년에는 초고령사회에 이를 전망으로 분석되고 있다. 그런 사회에 발맞춰 장기적인 관점과 개선책이 시급히 마련이 되면 좋겠지만 우리 사회는 노인의 비중이 증가하는 반면, 노인들의 문화·여가 생활이 보장되어 있지 않다는 사례가 나날이 끊이지 않고 있다. 디지털 세계가 도래한 지금, 젊은 우리 세대는 핸드폰을 통해 SNS나 메신저를 통하여 타인과 소통하고 여가 시간을 보내지만, 정작 문화·여가 생활조차 보장되어 있지 않은 노인들은 그마저도 할 수 없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를 이루는 구성원인 그들이 그런 변화 때문에 사회로부터 도태되어가고 있음에도 변화하는 사회는 노인들의 불편을 뒤돌아봐 주지 않는다. 도심 속 대부분 노인들은 사회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채 소통의 단절을 느끼고, 소외감을 느낀다. 이러한 문제 앞에서 우리는 노인들이 소외되는 일이 없이 다 같이 발맞춰 걷는 것이 곧 휴먼시티의 정의라고 생각하여 우리는 노인 분들의 소외를 메타버스 세계로 해결하고자 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Korea is rapidly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It has already entered an aging society in 2017 and has entered an aged society, and it is analyzed that it is expected to reach an ultra-aged society in the next 25 years. It would be good if a long-term perspective and improvement measures should be urgently prepared in line with such a society, but while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s increasing in our society, there are continuous cases in which the cultural and leisure life of the elderly is not guaranteed. With the advent of the digital world, our younger generation communicates with others through SNS or messengers through cell phones and spends leisure time, but the reality is that the elderly, who are not even guaranteed a cultural and leisure life, cannot even do that.
Even though they, the members of society, are being eliminated from society by such changes, the changing society does not look back on the inconveniences of such elderly people. Most of the elderly in the city are unable to adapt to the changes in society and feel disconnected from communication and feel alienated. In the face of these problems, we thought that walking together without the elderly being alienated is the definition of a human city, so we tried to propose a way to solve the alienation of the elderly in the metaverse world.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우선, 우리가 주목한 가장 큰 문제는 소통이었다. COVID-19 사태로 노인들의 소통장이나 다름없던 경로당 운영이 대폭 축소되며 얼마 존재하지 않던 노인들의 모임도 운영이 어려워지게 되었다. 젊은 청년층들은 그러한 사회에 빠르게 적응하며 다양한 메신저들로 사람들과 소통할 수 있었지만, 노인들은 소통이 전면 단절된 채였다. 우리는 이러한 문제점을 디지털 격차라고 보았고, 그 디지털 격차를 보완하기 위해 메타버스라는 요소를 찾았다.
디지털 격차에 난제를 겪는 그들이 메타버스를 어려워할 것이라는 우려와는 다르게 실제 메타버스를 경험해보신 다수의 노인 분들께선 생각보다 긍정적인 평을 하고 계셨다. 따라서 노인을 위한 공간 창출과 디지털 이용률을 높이기 위해 메타버스를 활용한 공간을 만들면 어떨까, 그리고 그 공간이 놀이터라면 어떨까, 하는 문제 해결까지 방법을 도출하여 “은빛 손 누리터”라는 공간을 제안하게 되었다.

First of all, the biggest problem we focused on was communication. Due to the COVID-19 crisis, the operation of the senior center, which was nothing but a communication center for the elderly, has been drastically reduced, making it difficult to operate meetings for the elderly that did not exist in a while. Young people quickly adapted to such a society and were able to communicate with people through various messengers, but the old people were completely cut off from communication. We saw this problem as the digital divide, and found an element called the metaverse to fill the digital divide.
Contrary to concerns that those who are struggling with the digital divide will find it difficult to use the metaverse, many elderly people who have actually experienced the metaverse gave positive reviews than expected. Therefore, in order to create a space for the elderly and increase the digital use rate, we proposed a space called “Silver Hand World” by deriving a method to solve the problem of how to create a space using the metaverse and what if the space was a playground.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은빛 손 누리터는 “손”을 중심으로 한 체험 위주로 이루어져 있다. 손은 초면인 타인과 교감을 할 때조차 가장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있는 신체 부위다. 이를 통해 사람은 혼자 있지 않음을 느끼고, 궁극적으로 존재 인식이 가능해진다. 은빛 손 누리터에서는 이 손을 특징으로 하여 체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시각적인 효과를 위한 MR글래스와 더불어 VR장갑을 사용하게 된다.
체험프로그램은 실제 노인복지기관에서 진행되는 프로그램에서 선호도가 높은 활동을 메타버스에 걸맞게 변형하거나, 소망하였던 것을 간접적으로나마 가능토록 돕는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그들의 이목을 자연스럽게 끌어내어 참여를 유도한다. 그리고 필연적으로 상호 간의 소통을 유도하여 누리터 내의 프로그램을 함께하는 상대방과 빠르게 소통하고 친해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누리터 공간에는 시각적 장애물이 없어 집중하기에 용이한 흰 벽과 쉽게 다른 누리 공간으로 넘어갈 수 있는 자동 유리문을 설치한다. 자동문이 열려있지 않을 때에는 다른 누리 공간에서의 소음이 차단되어 각자의 놀이에 집중하기에 유용해진다. 가운데 광장에서는 다양한 사람을 만날 수 있으며, 각 누리 공간 내에서는 자신과 관심사가 맞는 사람들을 만나 어울릴 수 있다.
또한 누리터의 이용자는 MR글래스에 비춰지는 누리새를 통해 서비스 안내를 받거나, 길 안내를 받게 된다. 처음 방문한 이용객이라도, 누리새의 도움을 받아 서비스 이용이나 길을 헤매는 등의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고 본다.
우리는 이러한 공간과 프로그램으로 도시 속 노인들이 할 것이 마땅치 않았던 일상에서 할 것이 생기는 일상으로, 만날 사람이 없던 소외된 면모에서 만날 사람이 많은 참여적 면모로, 도심 속에서 잊히고 있던 노인들이 서로를 기억하는 도시로 변화하며 디지털 시대에 한 걸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Silver Hand World consists of experiences centered on “hands”. The hand is the part of the body where you don't feel the most burden even when you are interacting with someone who is first meeting you. Through this, people feel that they are not alone, and ultimately, awareness of existence becomes possible. In Silver Hand World the experience is made with this hand, so VR gloves are used along with MR glasses for visual effects.
The experiential program naturally draws their attention and induces participation because it is a program that transforms the preferred activity in a program conducted at an actual elderly welfare institution to fit the metaverse or indirectly makes the desired thing possible. And it inevitably induces mutual communication so that they can quickly communicate and get to know each other through the program in Nuri.
There are no visual obstacles in the space of Nuri, so it is easy to focus on white walls, and an automatic glass door that allows you to easily pass to other Nuri spaces is installed. When the automatic door is not open, noise from other world spaces is blocked, making it useful to focus on your own play. In the central square, you can meet a variety of people, and in each Nuri space, you can meet and mingle with people who have similar interests to you.
In addition, users of the playground receive service or directions through ‘Nurisae’ reflected on the MR glass. Even first-time visitors, with the help of ‘Nurisae’, can use the service conveniently without any inconveniences such as using the service or getting lost.
With these spaces and programs, we are able to create something to do in everyday life where the elderly in the city had nothing to do, from the alienated aspect where there was no one to meet to the participatory aspect with many people to meet. I believe that it will be an opportunity to take one step closer to the digital age by transforming into a city that does.

청주대학교 디지털미디어디자인전공
곽은지, 방미선, 안신영, 오주희, 이유진 지도교수 김양호
Cheongju University Digital Media Design
Eunji Kwak, Miseon Bang, Sinyoung An, Juhee Oh, Yujin Lee ADVISER Yangho 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