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웰 다잉 서비스 프로젝트

현대 사회 속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들을 위한 웰 다잉 서비스 구축

Seoul Well-dying Service Project

Establishing a well-dying service for those who are preparing for death in the modern society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현재 우리 도시에서 죽음이라는 단어는 고령자 중심의 서비스와 인식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지만 사람의 죽음이란 나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죽음엔 다양한 종류가 있다. 그중에 가장 힘든 일은 가족을 포함한 지인의 갑작스러운 죽음이라고 생각했다. 이처럼 모두가 겪을 수 있는 갑작스러운 죽음에 우리는 대비할 수 있는 무언가가 필요하다. 서울시에서 제공한 자기 죽음에 대해 생각하는 연령별 빈도 표를 보면 고령층뿐 아니라 20-40대도 죽음에 대해 생각하고 있다고 답한 바 있다. 또한 반려동물에 대한 장례 문화도 확산하는 시점에서 고령층이라는 특정 세대에 한정적이었던 웰 다잉 대상자를 모든 연령층, 반려동물까지 확장할 수 있으며 죽음을 부정적으로 받아들이지 않고 즐겁게 일상에서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웰 다잉 서비스는 연령층의 죽음 인식하는 정도에 대한 격차를 줄이고 누구나 웰 다잉을 준비할 수 있는 주체가 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고자 본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Currently, the word death in our city is made up of services and perceptions of death centered on the elderly. However, death is not limited to age. There are many different kinds of death. Among them, I thought the most difficult thing was the sudden death of an acquaintance including a family member. We need something to be prepared for such a sudden death that everyone can experience. Looking at the table of frequency of thinking about death by age provided b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not only the elderly but also people in their 20s and 40s answered that they were thinking about death. In addition, at a time when the funeral culture for companion animals is also spreading, the meaning of well-dying can be extended to all age groups and companion animals, which was limited to a specific generation such as the elderly. We thought everyone needed a chance to think about positive aspects of death. Well-dying service helps reduce the gap in the perception of death among age groups and helps anyone preparing for well-dying.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우리 팀은 서울시의 사회적 이슈 중 웰 다잉을 중심으로 두고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삶과 죽음이라는 키워드를 뽑은 후, 삶과 죽음은 반대말이 아닌 하나의 연장선이라는 결과를 내고 프로젝트의 핵심 키워드인 웰 다잉을 인식, 연명의료와 죽음의 문화로 나누어 웰 다잉 서비스를 왜 만들고자 했는지 고민하고 연구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또한 생전, VR 장례식과 같은 새로운 장례 문화가 급증함에 따라 발생하는 장례 문화에 대한 사람들의 혼란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 모든 것을 바탕으로 웰 다잉 관련 문화를 새롭게 구축하며 프로젝트를 진행했다. 더불어 우리 팀은 웰 다잉 서비스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의미 확장에 집중하였다. 웰 다잉 서비스를 누구나 쉽고 편하게 사용할 수 있게 WDTI, 웰 다잉 관련 활동, 장례 서비스, 평생 서비스를 제공해 나가며 웰 다잉 문화를 확장시켜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현재를 소중하게 여기고 미래를 계획하는 일상을 만들 수 있다.

Our team carried out the project focusing on well-dying among the social issues of Seoul. By selecting the keywords of life and death, life and death are not opposites, but an extension, and the need for research on why the well-dying service was created by dividing the key keywords of the project, well-dying, into awareness,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culture of death derived In addition, as new funeral cultures such as VR funerals are rapidly increasing, it is intended to solve the confusion of people's funeral culture. Based on all of this, the project was carried out by newly establishing a culture related to well-dying. In addition, our team focused on expanding the meaning of users using the Well Dying service. By providing WDTI, well-dying-related activities, funeral services, and lifetime services so that anyone can use the well-dying service easily and conveniently, it can solve social problems by expanding the well-dying culture. This allows users to create a daily life that values the present and plans for the future.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사용자는 웰 다잉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웰 다잉에 대해 충분히 숙지하고 웰 다잉 서비스 체험한다. 그 결과 자신과 죽음은 동떨어진 존재가 아닌 매일 생각할 수 있는 존재이며 거리낌 없는 것이라고 생각하게 만든다. 사용자는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나누어 진행한다는 것에 중점을 두고 서비스를 제공한다. 온라인은 어플을 통해서 WDTI, 웰 다잉 거리 로드맵, 웰 다잉 문화재 서비스를 제공하며 오프라인은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서비스를 직접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로 나누었다. 이를 통해 다양한 사람들을 만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우리의 일상에 녹아들게 하고 우울감을 극복할 수 있도록 하여 죽음의 의미가 긍정적인 의미로 변화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서비스를 이용함으로써 자신만의 체계적인 웰 다잉을 계획하는 것과 더불어 죽음을 생각하는 나의 삶의 방식을 고민해볼 기회가 주어진다.

In the process of preparing well-dying, the user fully understands well-dying and experiences the well-dying service. As a result, it makes you think that you and your death are not separate beings, but are something you can think about every day and are free to think about. Users provide services with an emphasis on dividing online and offline processes. The online service provides WDTI, well-dying street roadmap, and well-dying cultural heritage service through the application, while offline services are divided into services that directly provide users with online services. Through this, we create an environment where we can meet a variety of people, incorporate them into our daily lives, and overcome depression, so that the meaning of death can change into a positive meaning. Also, by using the services, you are given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your own way of thinking about death as well as planning your own well-dying.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김자영, 문지송, 신승훈, 양한별, 이승민, 황이삭 지도교수 조광수
Jeonbuk National University Deprt. of Industrial Design
Jayoung Kim, Jisong Moon, Seunghun Shin, Hanbyul Yang, Seungmean Lee, Esak Hwang ADVISER Kwangsoo Ch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