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ERO365

서울시 카페거리 내 다회용기 순환 프로젝트

XERO365

Multi-use container circulation project in Seoul Cafe Street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팬데믹 도래 후 2년간 질병관리본부는 코로나 감염 예방을 위해 모든 음식점을 대상으로 테이크아웃과 배달을 권장하고 있다. 환경부가 2022년부터 실시한 '일회용 컵 보증제'는 카페 사장님들, 소비자들 사이에서 부정적인 방향으로 이슈가 되고 있다. 요약하자면 규제만 하지 말고, 대안을 만들어 달라는 입장이다. 우리는 이러한 자영업자분들을 인터뷰하여 직접 의견을 들어보는 과정에서 자영업자분들의 부담을 줄이는 것을 가장 큰 과제라 생각했고, 그에 맞는 프로젝트를 실행하고자 했다. 최근 위드 코로나 방안이 발표되었는데, 질병과의 공존은 용인하면서 자연과의 공존에는 명확한 대책이 없는 것이 과연 적절한가? 인간을 위해 버려지는 일회용품 쓰레기와 파괴되는 자연은 어떻게 예방할 것인가? 2018년 기준 한국의 커피 섭취량은 약 350잔이다. 그중 테이크아웃을 선호하는 응답은 거의 과반수를 차지했다. 코로나 이후인 지금은 선호도가 더 높아졌을 것이다. 그렇다면 테이크아웃 후 버려지는 일회용 컵의 개수는 얼마나 많을까? 우리는 이제 편리해진 생활 방식을 점차 가치 있게 바꿔나가야 할 때이다.

In the two years since the pandemic arrived, the Korea Center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HQ is recommending takeout and delivery of all food to prevent corona infection. The 'disposable cup guarantee system' fro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n 2022 is becoming a negative issue for cafe owners and consumers. In summary, the position is to create alternatives rather than just regulation. We interviewed these self-employed people and listened to their opinions. In conclusion, we thought that reducing the burden on the self-employed was the biggest task, so we tried to implement the appropriate project. With Corona measures recently announced, is it appropriate that there are no clear measures for coexistence with nature while allowing coexistence with diseases?
How can we prevent the single-use waste that is thrown away for humans and the destruction of nature? As of 2018, coffee consumption in Korea was about 350 cups. Among them, almost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red takeout. After Corona, the preference would have been higher now. If so, how many disposable cups are thrown away after takeout? Now is the time to change the convenient way of life to become more valuable.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우리는 테이크아웃으로 인해 한 번 쓰고 버려지는 일회용 컵 사용의 대안으로 다회용기 사용 권장 프로젝트를 생각했다. 하지만 이 프로젝트에는 시행하기 힘든 몇 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모든 소비자가 환경을 생각하지 않는다. 고로 이 프로젝트에 참여하기 위해 시간과 마음을 할애하지 않을 것이라는 예상이다. 둘째, 텀블러를 가지고 다니는 번거로움이다. 아무리 환경에 관심이 있는 소비자라고 해도 매일 텀블러를 구비하여 다니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었다. 우리는 이 두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자를 너무 번거롭게 하지 않으면서도 기업과 소비자 모두가 편리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을 생각해 내야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기업과 소비자, 어느 한쪽에도 치우치지 않고 모두가 환경 보호 시작을 함께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별개의 시스템을 구상했다.

We considered the project to recommend the use of multi-use containers as an alternative to the use of disposable cups that are used once and thrown away due to takeout. However, there were several problems that made this project difficult to implement. First, not all consumers care about the environment.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not devote their time and mind to participate in this project. Second, it solves the hassle of carrying a tumbler. No matter how environmentally conscious consumers are, it is difficult to carry a tumbler every day. In order to solve these two problems, we had to come up with an optimal way that would be convenient for both businesses and consumers without making consumers too cumbersome. To that end, we envisioned a separate system that could lead everyone to start protecting the environment without biasing either side of the company or consumer.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아이디어는 최근 유행하는 거리의 사진 부스에서 시작되었다. 우리는 서울시 내 카페 거리 혹은 카페 앞에 별도로 부스를 설치하여 다회용기 순환 시스템 프로젝트를 구상했다. 소비자가 카페에서 다회용기에 테이크아웃을 하면 음료를 다 마신 후 그 용기를 거리 곳곳에 설치된 다회용기 세척 부스에 반납하는 것이다. 그러면 세척된 다회용기를 관리부서에서 수거하여 다시 카페로 전달하는 순환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서울시의 부스 설치 지원이 필요하며, 처음 제로웨이스트에 참여하는 사람에게는 진입장벽을 없애주고, 이미 참여 중인 사람에겐 지속성을 독려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 카페 사장님들이 개인적으로 다회용기 포장, 제로웨이스트 캠페인을 지속성 있게 실천하기에는 시간과 예산이 부족하며, 이는 곧 자영업자에게 본업에 가중되는 부담으로 다가온다. 따라서 우리는 소비자의 부담뿐만 아니라 자영업자의 부담을 해소하는 방안을 생각해냈다.

The idea started with a photo booth in a trendy street. We envisioned a multi-use container circulation system project by installing a separate booth in front of a cafe street or cafe in Seoul. When a consumer takes out a multi-use container at a cafe, they return the container to the multi-use container washing booth installed throughout the street after they finish drinking. Then, it is a circulation system that collects the washed multi-use containers from the management department and delivers them back to the cafe. In order to do that, it is necessary to support the installation of booth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it is determined that it can remove barriers to entry for first-time participants and provide continuity to those who are already participating. Cafe owners who usually practice multi-use packaging and zero-waste campaigns with personal will do not have the time and budget to continuously practice, which has a problem in that the burden of the self-employed is added to their main job. Therefore, we came up with a way to relieve the burden of the self-employed as well as the burden on consumers.

숙명여자대학교 시각영상디자인학과
김나예, 김다린, 손예총, 신재은, 한다현, 한채율 지도교수 이지선
Sookmyung Women's University Visual Media Design
Naye Kim, Darin Kim, YihTsong Sun, Jaeeun Shin, Dahyeon Han, Chaeyul Han ADVISER Jisun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