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청마루

사람과 사람, 공간과 사람을 연결하는 인간성 회복을 위한 완충공간

‘Daecheong-Maru’ (Living room)

A buffer space for the restoration of humanity that connects people and people, and space and people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불이 꺼지지 않는 도시, 서비스와 소비 기능이 중심이 되어가는 도시에서 소통은 단절되고 인간의 존재성이 왜곡되고 있다. 인간의 가치가 떨어질 때 인간의 고립이 발생하고, 사회에서는 개인주의 현상이 만연하며, 소외감을 느끼는 사람은 정신적 피해를 보게 되고, 이는 도시를 넘어 국가적으로 더욱 병폐하게 만들기 때문이다. 코로나로 인한 정보통신 기술의 사회적 진입 속도가 더욱 빨라지며, 사람 간의 대화 및 소통은 더욱 줄어들었다.

In a city where the lights do not go out, where the functions of service and consumption become the center, communication is cut off and human existence is distorted. The isolation of humans that occur when the value of human-beings decline indicate that the phenomenon of individualism is more and more prevalent in society, and people who feel alienated suffer from psychological damage, which causes more ills in the country through the city. Due to the Corona virus, the speed of social en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s getting faster, and conversations and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re decreasing.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도시의 중추적 역할을 하는 인간은 지금까지 생산자로 도시의 구성원 역할을 하였다. 이에 인간의 역할을 생산자가 아닌 소비자로 바꾸어 그들의 일상을 중심으로 관점을 전환하였다. 하지만 역시 인간은 생산자로서의 역할을 위한 소비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도시의 구성 요소로서의 인간이 아닌, 도시의 중추적 역할로서 인간의 역할을 모색하였다. 도시의 구성 요소로 가장 많이 사라진 것은 가족 간 이웃 간 친구 간의 소통이며, 도시의 메가시티화로 인한 지역 간의 단절, 도심 공간의 개발로 인한 휴식 공간들의 축소 등이 도시개발의 폐해로 인간에게 되돌아오고 있다. 또한 교통과 통신의 발달로 소통의 가능성은 많아졌으나 교감을 위한 소통 공간은 줄어들었고, 휴식이 없는 소비의 공간이 늘어났지만 이런 변화에 적응하지 못한 인간은 점점 더 스스로 공간에 고립되어 가고 있다. 이에 소통과 연결을 통한 인간성 회복이 필요함을 파악하여 프로젝트를 전개하였다. 우리는 소통과 연결의 공간을 도심에서 만들어보고자 한다. 누구나 쉬어가고 소통할 수 있는 공간, 거대한 도시 안에서도 감성적, 시각적으로 고립되지 않고 타의에 영향을 받지 않는 공간, 어디에도 속하지 않고 시각적, 청각적, 물리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공간 조성과 끊임없이 진화하는 도시인 “차별 없는 도시”의 초석이 필요하다.

Humans, who play a central role in the city, have played the role of a member as a producer in the city until now. Accordingly, we changed the perspective from producer to consumer, and centered the perspective to the daily life of people. However, human consumption was mostly for the role of producer. Therefore, the role of humans as the central role of the city was explored, not as a component of the city. The elements that disappeared the most as a component of the city were the decrease in communication between family members, neighbors, friends, and the disconnection between regions due to the upcoming of megacity, and the reduction of resting spaces due to the development of urban spaces. In addition, with the development of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has increased, but on the contrary, the communication space for communion has decreased, so the space for consumption without rest increased, which led to steeper isolation. Therefore, we developed it as a need to restore humanity through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We want to create a space of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in the city center. A place where everyone can relax communicate. A cornerstone of a ‘city without discrimination’ is needed, a city in which the need to create a space that is not emotionally and visually isolated and not influenced by others even within a huge city, and that does not belong to any place and can be separated visually, acoustically and physically.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우리나라의 중심인 서울을 대상으로 선정, 서울이라는 도시가 인간에게 집이라는 의미를 부여하였다. 집이란 가족 또는 이웃 간 소통의 공간이며, 휴식의 공간이다. 또한, 집 안에 있던 대청마루는 가족 간의 소통이 진행되던 대표적인 공간의 의미가 있었다.
이에 서울에서 소비와 생산 활동이 가장 활발하며 휴식과 소통이 가장 필요한 지역을 선택했고, 4개의 지역을 연결해 집이라는 형태의 소통과 연결의 도시 소통 라인과 각 거점의 힐링 쉘터를 구성하였다. 도시 소통 라인이란 각 거점을 중심으로 거점과 거점의 소통을 위한 라인으로, 도심의 둘레길이라 볼 수 있다. 소통과 휴식의 공간인 쉘터를 중심으로 각 지역의 특성과 환경에 맞는 쉘터를 제공하여 낮과 밤의 경계 없이 활동하는 도심 속에서 소통과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며, 도시의 방문객에게 집의 의미를 알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공할 기회를 만들어, 도시 안에서도 둘레길 같은 소통의 라인을 제공하고자 한다.
각 지역의 거점 쉘터는 지역 특성에 맞는 정체성을 부여받아 창의적이고 문화적으로 다양하며, 미래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는 콘셉트를 지향한다. 이는 도시 사람들이 인간성을 회복하는 공간, 휴식과 소통이 필요한 이들에게 제공할 공간 구성의 가이드라인이 될 것이다.

Seoul, the center of Korea, was selected as the target area, and the city of Seoul was given the meaning of home to humans. A home is a space for communication with family and neighbors, and a place for rest. In addition, the ‘Daecheong-Maru’ in the house had the meaning of a representative space where communication between families was carried out.
Accordingly, by selecting an area where consumption and production activities are the most active in Seoul and that needs rest and communication the most, the four areas were connected to form a home-type communication and connection between a city communication line and a healing shelter at each base. The city communication line is a line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bases centered on each base, and it can be seen as a perimeter road in the city center. It provides shelters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each region, with a focus on shelters, a space for communication and relaxation, to provide a space for communication and relaxation in the city center, where there are no boundaries between day and night, and to give city visitors the meaning of home. By creating an opportunity to provide a program that people can understand, we want to provide a line of communication like ‘Dullegil’ in the city.
The base shelters in each region give identity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aim for a concept that can present a vision for the future with creative and cultural diversity. It will be a guideline for space configuration that can be provided to people.

세명대학교 산업디자인학과
장재민, 이영석, 강희연, 박소정, 오진영, 조민배 지도교수 류상현
Semyung University Industrial Design
Jaemin Jang, Youngseok Lee, Heeyeon Kang, Sojeong Park, Jinyoung Oh, Minbae Cho ADVISER Sanghyun Ry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