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속 청년들의 ‘지금’을 향한 높이뛰기

도시 속 청년 1인가구의 자립을 돕는 메타버스 동네 산책

High jump towards the ‘now’ of young people in the city

A walk in the metaverse neighborhood that helps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city to become self-reliant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서울, 꿈이 있는 공간으로 발걸음을 옮기는 2030 청년 인구 비중이 증가하며 서울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1인 가구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청년들이 새로운 곳에 정착하고 일상에 적응해가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 대한 해결책은 매 순간 요구되고 있다. 기업에서도 매년 청년들을 타겟팅한 서비스와 제품들을 출시하고 있고 정부 차원에서도 청년 정책 예산을 해마다 가중하는 등 관심을 놓지 않고 있다.
하지만 우리는 청년의 입장에서 해석되지 않아 사용자 친화도가 낮은 지원 정책들이 지원 대상과 멀어지고 이에 더불어 청년들은 자신을 위한 전 국민적 예산과 지원 프로세스를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라는 점에 주목했다.
이에 도시 속 청년들의 ‘지금’을 향한 높이뛰기, ‘별별동네’는 실효성 높은 청년 정책을 새롭게 디자인하는 것이 아닌 기존에는 없던 새로운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오직 청년을 위해 청년과 그 이해관계자의 입장에서 서술하여 그들이 자립하고 새로운 일상에 적응할 수 있는 전 과정에 녹아들 수 있는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The proportion of you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who are moving to a space of dreams in Seoul is increasing, and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Seoul and other parts of South Korea is increasing every year. Solutions to the difficulties faced by young people in the process of settling in a new place and adjusting to their daily life are becoming demanding every moment. Companies are also launching services and products targeting young people every year, and the government is also paying attention by increasing the youth policy budget every year.
However, we noted that aid policies with low user-friendliness were not interpreted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people, and in addition, young people were mostly unaware of the national budget and support process for themselves.
Accordingly, ‘Byeol-Byeol-Dongnae’, the high jump towards the ‘now’ of young people in the city, does not design a new effective youth policy, but proposes a new process that has never existed before, and describes them from the perspective of young people and their stakeholders only for young people. We would like to propose a design that can be integrated into the entire process of being independent and adapting to a new daily life.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청년들을 위한 서비스를 기획하며 우리는 무수한 FGI와 Survey를 통해 도심 속 다양한 환경에서 거주하는 청년들을 만나 그들의 니즈를 탐색하였다. 그리고 인터뷰를 통해 청년 1인 가구가 가장 필요로 하는 것은 실질적인 도움뿐만 아니라 그들이 의지할 수 있는 정서적 연대를 유치하는 것이라는 예상치 못한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그들은 코로나 이후 사회적 활동이 제한되면서 사람과의 소통, 공감에 대한 욕구가 많아졌고 특히 청년 1인 가구에서 많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우리는 이를 보완하기 위해 근린 서비스를 도입하였고 그들이 가장 효과적으로 소통하고 그 안에서 재미 요소까지 경험할 수 있는 수단으로 메타버스를 선택했다.
우리는 앞선 리서치 자료를 바탕으로 연고가 없는 지역에서 새로운 일상을 준비하는 페르소나를 선정했다. 이를 토대로 고객 여정 맵을 작성하면서 사용자가 의료, 주거, 보험 등 전문적인 지식이 있어야 하는 분야에서 두려움을 느낀다는 것과 1인 가구 특성상 불가피하게 나오는 생활 폐기물 등에서 죄책감을 가진다는 것을 도출할 수 있었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아이데이션을 수차례 진행했다.

In planning services for young people, we met young people living in various environments in the city and explored their needs through countless FGIs and surveys. Through the interview, we were able to get an unexpected insight that what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most need is not only practical help but also attracting emotional solidarity they can rely on. In addition, as social activities were restricted after Corona, the desire for communication and empathy with people increased, and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especially common among young single-person households.
Therefore, we introduced a neighborhood service to compensate for this, and chose the metaverse as a means for them to communicate most effectively and experience fun elements in it. Based on previous research data, we selected personas who prepare for a new daily life in an unrelated area. Based on this, while creating a customer journey map, we were able to derive that users feel fear in fields that require professional knowledge such as medical care, housing, and insurance, and that they feel guilty about household waste that is inevitably generated due to the nature of single-person households. Ideas were made several times to solve the problem.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001. 정서적 연대감
사용자가 필요로 하기 전에 맞춤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청년정책에 대한 접근성을 높인다. 또한 정책에 대한 진입장벽을 낮추고 더 많은 대상자에게 노출할 수 있도록 한다.
002. 정서적 연대감 부재
서로가 서로에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서포터 서비스를 제공하고 청년 세대로의 타겟팅과 지역 기반 메타버스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고도화된 서비스 경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003. 불가피하게 버려지는 생활 폐기물
식재료부터 각종 생활용품까지, 자신의 물건과 이웃의 물건을 교환하며 불가피한 생활 폐기물을 줄임과 동시에 근린이 소통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주거 라이프스타일 그 이상의 가치 창출이 가능하게 한다.

001. Emotional Solidarity Increase access to youth policies by allowing users to access personalized information before they need it. It also lowers the barriers to entry for the policy and allows it to be exposed to more people.
002. Lack of Emotional Solidarity We provide supporter services so that they can help each other, and target the youth generation and enable users to experience more advanced service through the region-based metaverse.
003. Household waste that is inevitably thrown away From food ingredients to various household necessities, it is possible to create values beyond a sustainable residential lifestyle that can communicate with neighbors while reducing inevitable household waste by exchanging their own goods with those of neighbors.

성신여자대학교 서비스·디자인공학과
한정은, 신현서, 이유진, 이지원 지도교수 이여름
Sungshin Women's University Department of Service Design Engineering
Jungeun Han, Hyeonseo Shin, Yujin Lee, Jiwon Lee ADVISER Yeoreum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