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부 신호등

대학동 독거 중장년 안부확인 프로그램

Inquiring Traffic Light

Daehak-dong program for inquiring the well-being of middle-aged and elderly living alone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고시생이 떠나고 비어버린 대학동 고시촌에 중장년 1인 가구가 자리 잡았다. 이들은 경제적 어려움으로 양질의 의식주를 누리지 못하며 여기서 비롯된 문제는 정서적 문제 및 사회적 고립으로 귀결되는 악순환을 겪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외부의 도움이 절실하지만 독거 중장년을 위한 복지제도는 부족한 실정이다. ‘해피인’에서는 대학동 취약계층에 식사 제공부터 복지 정보 및 주거 문제 상담 등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적은 인력으로 기억에 의존해 방문자를 케어할 뿐더러 체계적으로 후속 복지와 연결하기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독거 중장년에게 꼭 필요한 안부 질문의 응답을 자동으로 데이터화하는 웹 앱 서비스를 고안했다.

Middle-aged single-person households filled in the place of test takers, who left the ‘Gosi Village’ in Daehak-dong. They cannot enjoy quality food, clothing and shelter due to economic difficulties, and the problems that arise from this are going through a vicious cycle that leads to emotional problems and social isolation. To solve this problem, external help is desperately needed, but the welfare system for middle-aged and elderly living alone is insufficient. ‘Happy People’ put a lot of effort into providing meals to the underprivileged in Daehak-dong, providing welfare information and counseling on housing issues. However,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connect with follow-up welfare as well as take care of visitors by relying on memory wit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To compensate for this, we devised a web app service that automatically converts the answers to the safety questions that are essential for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대학동 독거 중장년을 위해 복지 활동을 추진하는 ‘대학동 프로젝트’팀과 컨소시엄을 맺고 꾸준히 회의를 진행했다. 대학동 독거 중장년이 처한 악순환의 핵심 요소인 ‘건강 문제, 정보 소외, 사회적 고립’을 종합적으로 해결할 방안을 모색했다. 코로나 상황임에도 하루에 100명 이상 취약계층이 방문하는 ‘해피인’ 무료 급식소를 거점으로 소셜 디자인을 진행하기로 논의를 좁혔다. 꾸준히 해피인 급식 봉사에 참여해 컨소시엄 팀과 유대를 쌓고, 독거 중장년분들도 만나 뵈며 현장감 있는 리서치를 이어갔다.
해피인 도시락을 기다리는 동안 건강, 수면, 식사, 우울, 관계에 대한 설문을 진행하여 안부를 묻고, 정보 소외를 막는 데 필요한 정보를 문자로 전송하고 후속 복지를 연계해주는 아이디어에 다다랐다. 안부 질문과 지원 정보 내용은 컨소시엄 팀에게 전문적 의뢰를 맡겨 완성했고, 해피인에서 사람이 직접 묻던 안부가 기계로 대체되어도 ‘존중’의 느낌이 사라지지 않도록, 문장과 UI 디자인 모두 이해하기 쉽고 따뜻하게 제작했다. 방문자의 응답 정보는 관리자 페이지에 자동으로 옮겨져 관리가 용이하도록 제작했다. 컨소시엄 팀과 피드백을 나누며 세부적인 수정을 마치고 개발자와 협업해 아이디어를 웹 서비스로 구현했다. 이로써 독거 중장년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관계적 적신호를 발견하고 도움을 연계하는 ‘안부 신호등’ 서비스가 탄생했다.

We formed a consortium with the Daehak-dong project, which promotes welfare activities for middle-aged and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in Daehak-dong, and held regular meetings. We searched for ways to comprehensively solve ‘health problems, information alienation, and social isolation’, which are the core elements of the vicious cycle faced by middle-aged and elderly living alone in Daehak-dong. Despite the Corona situation, the discussion was narrowed down to proceed with the social design based on the ‘Happy People’ free food service center, where more than 100 vulnerable people visit per day. We continued our realistic research by participating in Happy Meal Service, building ties with the consortium team, and by meeting middle-aged people living alone.
While waiting for the Happy Meal Box, I came up with the idea of linking health, sleep, eating, depression, and relationships to asking for my well-being, sending text messages and linking follow-up welfare to prevent information alienation. The contents of the greeting questions and support information were completed by entrusting a professional request to the consortium team, and both the sentences and the UI design are easily understandable and welcoming, that the feeling of ‘respect’ does not disappear even if the human greeting is replaced by a machine. After sharing feedback with the consortium team, making detailed modifications, and collaborating with developers, we were able to implement the idea as a web service. As a result, the ‘Inquiring Traffic Light’ service was born, which discovers the physical, psychological, and social red signs of middle-aged and senior citizens living alone and links them to assistance.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해피인 앞에 두 대의 태블릿을 배치하고 실제 운영을 시작했다. 팀원들이 서비스를 설명하며 응답을 도와 66명의 방문자 데이터를 모았다. 대학동 워크숍은 연말까지 해피인에서 꾸준히 서비스를 운영하며 보완점을 찾고 더욱 효과적인 서비스를 완성할 것이다. 또한, 누적 적신호가 발견된 응답자에겐 지역 복지 서비스를 연계하는 후속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
‘안부 신호등’은 사회적, 제도적으로 소외된 독거 중장년을 지키고자 안부 확인 및 정보 제공 등의 커뮤니티 케어를 실현하는 아이디어다. 향후 ‘안부 신호등’ 서비스가 현장의 활동가들이 외부 도움 없이 사용할 편의성을 갖추어 대학동, 나아가 각 지역구에서 효과적으로 운영되는 지속가능한 지역 시스템으로 확대될 것을 목표로 한다. 지역의 소외된 이를 돕는 공공의 일에 앱을 이용한 데이터 서비스를 도입해 지역 커뮤니티 케어의 지속성과 효율성을 강화하고 더욱 체계적인 복지 시스템 구축에 도움이 되려 한다.

Two tablets were placed in front of ‘Happy People’ and the actual operation started. Team members described the service and helped responses, gathering data from 66 visitors. The Daehak-dong workshop will continue to operate the service at ‘Happy People’ until the end of the year to find complementary points and complete a more effective service. In addition, we plan to establish a follow-up system that links local welfare services to respondents who have found cumulative red signals. The ‘Inquiring Traffic Light’ is an idea that realizes community care such as checking safety and providing information to protect middle-aged and elderly people living alone who are socially and institutionally isolated. In the future, it aims to expand the ‘Inquiring Traffic Light’ service to a sustainable local system that is effectively operated in Daehak-dong and each constituency by making it convenient for on-site activities to use it without external help. By introducing a data service using an app to the public work of helping the underprivileged in the region, it will strengthen the continuity and efficiency of local community care and help build a more systematic welfare system.

서울대학교 디자인과
김선형, 박진아, 심은비, 양수빈, 염승원 지도교수 이장섭
Seoul National University Department of Design
Seonhyeong Kim, Gena Park, Eunbi Shim, Subin Yang, Seungwon Yeom ADVISER Jangsub L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