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방곡곡"의 사람들을 문화 오아시스 별난곡곡으로

난곡의 도시 재생을 위한 문화 복합 도서관

Bringing people from ‘everywhere’ to ‘Byeol-Nan-Gok-Gok’, the cultural oasis

A cultural complex library for urban regeneration of Nangok

Q1 우리 도시의 어떤 점에 주목했나요?

난곡은 한때 서울의 가장 큰 달동네였다. 2003년 시작된 도시개발 사업으로 인해 현재 지역 곳곳에 높은 아파트들이 늘어서 있지만, 실질적으로 난곡에서 거주하던 이들이 다시 정착한 비율은 8.8%에 불과했다. 난곡의 지역적 특성은 개발이라는 명목하에 사라졌고, 미개발 지역은 문제점들이 개선되지 못한 채로 고스란히 남아, 시간이 지날수록 쇠퇴하게 됐다. 점차 노후화되어가는 주거환경, 문화 및 편의시설의 부족과 같은 문제는 난곡에 거주하는 젊은 세대들이 난곡의 밖으로 발길을 돌리게 하고, 난곡을 찾아오는 이들의 발길이 끊어지게 하는 주요 원인이 되고 말았다.

Nangok was once the largest shantytown in Seoul. Due to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that started in 2003, high-rise apartments are now lined up in various parts of the area, but in reality, only 8.8% of those who lived in Nangok settled agai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of Nangok disappeared under the name of development, and the problems of undeveloped areas remained unimproved, leading to decline over time. The gradually aging housing environment, insufficient culture and problems of convenient facilities have become the main causes of the young generation living in Nangok turning away from Nangok and the cut off of those who come to Nangok.

Q2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여러 번의 답사와 인터뷰, 조사를 통해 난곡이 지닌 다양한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던 중, 난곡이 속해있는 관악구가 서울 내에서 인구 당 공공도서관 수 및 도서관 이용자 수가 가장 낮은 지역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게다가 난곡 지역의 도서관들은 주거 공간이 집약되어있는 위치에도 불구하고 관악구의 다른 도서관에 비해 접근성이나 사용 빈도, 시설 편의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주민들이 난곡에서 커뮤니티를 형성하고, 자체적으로 문화를 소비하고 생산할 수 있는 공간을 도서관의 형태로 제시하고자 한다. 해당 공간이 단순히 도서관의 기능(도서의 대여 및 열람)을 수행하는 데에 그치지 않고, 난곡의 랜드마크로서 작용해 주민들에게 자신이 사는 지역에 대한 인식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난곡 외부 사람들이 관광객으로 찾아오게 하는 매개체 역할을 수행하고, 난곡 내부 주민들의 참여를 통해 지속 가능한 소비 생태를 구축하는 장으로 활용되어 지역 내 소비량의 증가에 따른 지역 경제 활성화, 인프라 개선의 초석이 되길 기대한다.

While researching th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of Nangok through multiple visits, interviews, and surveys, we found out that Gwanak-gu, where Nangok belongs, has the lowest number of public libraries and library users per population in Seoul. Despite the libraries in Nangok were located in highly dense residential area, these libraries showed lower accessibility, frequency of use, and facility convenience compared to other libraries in Gwanak-gu. Accordingly, we intend to present a space in the form of a library where residents can form a community in Nangok and consume and produce their own culture. The space does not only function as a library (renting and reading books), but also acts as a landmark of Nangok, allowing residents to improve their awareness of the area in which they live in. In addition, we hope this library will become the foundation for local economic revitalization and infrastructural improvement by serving as a medium to attract people from outside Nangok as tourists, and being used as a venue to build a sustainable consumption ecology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local residents in Nangok.

Q3 휴먼시티로 가는길

먼저, 난곡 밖으로 방방곡곡 흩어진 이들을 난곡의 별난 장소로 다시 모이게 한다는 의미를 지닌 "별난곡곡"이라는 브랜드를 제시한다. 브랜드 이름부터 지역의 고유성을 보여주기 때문에, 브랜드를 경험, 참여하는 이들에게 지역에 대한 이미지를 쉽게 각인시킬 수 있다. 난곡 내에서 경사가 급하고, 노후화되어 버려진 주택이 다수 존재하는 위치를 선정하고, 그중 유휴공간이 발생한 빌라 두 채를 연결시켜 개조하는 형태로 도서관을 설립하여 위의 제시된 브랜드를 적용한다. 난곡의 색채를 담을 수 있도록 외벽의 소재를 유지하고 내부 인테리어 및 파사드의 개선을 통해 고유한 매력을 지닌 장소로 재생시킨다.
 도서관 내의 공간을 카페, 예술 전시 및 창작물 판매, 휴식 공간 등의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도록 분할하고, 구조적으로는 주택이 가지고 있는 공간적 한계를 친환경적으로 극복하여 난곡의 전망 등 지역의 매력 요소들을 경험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노후 주택을 활용해 새로운 공간을 제시하며 주거 "환경"을 개선하고, 주민들의 커뮤니티 및 소비생태 구축으로 "사람"을, 이 모든 과정을 통해 난곡이라는 "도시"를 재생시켜 휴먼시티 디자인의 주목적에 한 발짝 더 가까이 나아가고자 한다.

We are suggesting the brand name ‘Byeol Nan Gok Gok’ which contains the meaning of regathering people who have scattered to places outside of Nangok back to eccentric places of Nangok. Since the brand name is uniquely named after the region itself, it is easy to imprint the image of region on those who experience and participate in the brand.
Select a location in Nangok where slope is steep and where there are many old and abandoned houses, and build a library in the form of renovation by connecting two villas with unused space to apply the brand suggested above.
The material of the exterior wall is to be kept to contain the colors of Nangok, while the place will be regenerated as a place with unique attraction through the improvement of interior design and the façade. The space in the library shall be divided in to sectors such as space for café, art exhibition, sales of creative works, and resting area so that various contents can be enjoyed. Structurally, it will be designed to overcome the spatial limitations of the house in an eco-friendly way so that people can experience the attractive elements of the region, such as the view of Nangok.
We hope to make one step forward to the main goal of Human City Design by improving the residential ‘environment’ by suggesting new spatial application using old houses, and by regenerating ‘people’ by establishing local community and consumer environment for residents, and by regenerating the ‘city’ named Nangok through all of the above processes.

경희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박정우, 유현우, 이하람, 전소정 지도교수 박상희
Kyunghee University Department of Visual Communication Design
Jungwoo Park, Hyunwoo Yu, Haram Lee, Sojeong Jeon ADVISER Sanghee Park